후쿠오카현 제6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오카현 제6구는 후쿠오카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구루메시, 오카와시, 오고리시, 우키하시, 미이군, 미즈마군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과거 자유민주당의 강세 지역이었으나,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여러 정당의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고가 마사히로, 하토야마 구니오, 하토야마 지로 등이 있으며, 하토야마 지로는 2017년 제48회, 2021년 제49회,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현의 선거구 - 후쿠오카현 제8구
후쿠오카현 제8구는 노가타시, 이즈카시 등을 포함하는 지역구로 과거 탄광 지대였으며, 자유민주당의 아소 다로가 1996년부터 10회 연속 당선되어 보수 왕국으로 자리잡았다. - 후쿠오카현의 선거구 - 후쿠오카현 제11구
후쿠오카현 제11구는 다가와시, 유쿠하시시 등을 포함하는 지역구로, 과거 사회당 지지 기반이 강했으나 현재는 자유민주당 지지세가 우세하며, 최근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과 일본유신회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하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2구
에히메현 제2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마쓰야마시 일부, 이마바리시, 도온시, 오치군, 이요군을 포함하며 과거 자유민주당 텃밭이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입헌민주당이 승리하며 변화를 겪었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의원이 장기간 당선되었던 지역이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3구
에히메현 제3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과거에는 에히메현 동부 지역을 관할했으나 선거구 개정 이후 관할 지역이 크게 변경되었고, 정당 간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후쿠오카현 제6구 | |
---|---|
후쿠오카현 제6구 | |
![]() | |
![]() | |
개요 | |
선거구 | 후쿠오카현 제6구 |
설치 연도 | 1994년 |
선출 의원 | 1명 (소선거구) |
관할 구역 | |
자치체 | 구루메시 (旧 구 구루메시 지역, 기타노 정, 미이 군에 속하는 마을) |
과거 관할 구역 | 오무타시 (2002년 ~ 2017년) 야나가와시 (2002년 ~ 2017년) 미야마시 (2002년 ~ 2017년) 미이케군 (2002년 ~ 2017년) 산토군 (2002년 ~ 2017년) |
선거 결과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1년) | 당선: 하토야마 지로 (자유민주당) 득표수: 99,920표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7년) | 당선: 하토야마 지로 (자유민주당) 득표수: 94,141표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4년) | 당선: 하토야마 지로 (자유민주당) 득표수: 84,726표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2년) | 당선: 하토야마 지로 (자유민주당) 득표수: 82,249표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9년) | 당선: 오구시 히로시 (민주당) 득표수: 112,248표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5년) | 당선: 오구시 히로시 (민주당) 득표수: 99,229표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3년) | 당선: 오구시 히로시 (민주당) 득표수: 96,213표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0년) | 당선: 기하라 미노루 (자유민주당) 득표수: 77,471표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6년) | 당선: 기하라 미노루 (자유민주당) 득표수: 87,228표 |
2. 지역
2013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의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1][2]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부터 2013년 소선거구 개정까지의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3]
3. 역사
후쿠오카현 제6구는 중선거구제 시절 구 후쿠오카 3구의 일부를 계승한 지역구이다. 중선거구 시절에는 고가 마코토, 고가 마사히로, 고가 가즈나리 세 정치인이 이른바 '삼고가(三古賀)'로 불리며 자민당의 강력한 보수 지지 기반을 형성했다.
1996년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이 지역구에서는 주로 고가 가문과 하토야마 구니오 및 그의 아들 하토야마 지로로 이어지는 하토야마 가문 간의 경쟁 구도가 나타났다. 고가 마사히로와 고가 가즈나리는 자민당 탈당 후 신생당, 신진당 등을 거치며 정치 노선을 달리했으며, 이후 고가 마사히로는 자민당에 복당하고 고가 가즈나리는 민주당에 합류하여 직접 대결하기도 했다. 2005년에는 하토야마 구니오가 외가 연고가 있는 이 지역으로 옮겨와 출마하면서 고가 가즈나리와 여러 차례 경쟁했다. 이 과정에서 고가 가즈나리는 지역구에서 낙선한 뒤 비례대표로 부활하는 등 끈질긴 정치 생명력을 보여주었으나, 하토야마 가문의 영향력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특이하게도 이 선거구에서는 현직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두 차례의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2002년 고가 마사히로의 사망과 2016년 하토야마 구니오의 사망으로 각각 보궐선거가 실시되었으며, 2016년 보궐선거에서는 하토야마 구니오의 차남인 하토야마 지로가 당선되어 의석을 승계했다. 이후 하토야마 지로는 자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며 현재까지 의석을 유지하고 있다.
3. 1. 선거구 설치 이전 (중선거구 시대)
중선거구제 시절의 구 후쿠오카 3구에서는 고가 마코토, 고가 마사히로, 고가 가즈나리 세 명의 정치인이 이른바 '삼고가(三古賀)'로 불리며 자민당의 강력한 보수 지지 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 중 고가 마코토는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이후에는 후쿠오카현 제7구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게 된다.이후 1993년, 고가 마사히로와 고가 가즈나리는 자민당을 탈당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두 사람 모두 신생당의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 도입 직전의 이러한 변화는 해당 지역 정치 지형의 변동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3. 2.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중선거구제였던 구 후쿠오카 3구 시절에는 고가 마코토, 고가 마사히로, 고가 가즈나리의 이른바 "삼고가"가 자민당의 강력한 보수 기반을 형성하고 있었다. 소선거구제 도입 후 고가 마코토는 후쿠오카현 제7구로 지역구를 옮겼다. 1993년 고가 마사히로와 고가 가즈나리는 자민당을 탈당하여 신생당 소속으로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었다.소선거구제가 도입된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당시 신진당 소속이었던 고가 마사히로가 후쿠오카 6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당의 고가 가즈나리는 비례 큐슈 블록 단독 후보로 나서 당선되었다.
2000년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민당에 복당한 고가 마사히로와 민주당에 합류한 고가 가즈나리가 맞붙었다. 선거 결과 고가 마사히로가 지역구에서 승리했으며, 고가 가즈나리는 비례대표로 부활하여 의석을 유지했다.
2002년 고가 마사히로가 현직 의원 신분으로 사망하면서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고가 가즈나리는 의원직을 사퇴하고 보궐선거에 출마했으나, 낙하산 공천 논란 속에 출마한 자민당의 아라마키 류조에게 패배하여 의석을 잃었다.
2003년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고가 가즈나리가 아라마키 류조를 누르고 소선거구에서 처음으로 당선되었다. 아라마키는 낙선 후 교토부 의회 의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직전 선거에서 도쿄도 제18구에 출마했다가 당시 민주당 대표였던 간 나오토에게 패배하고 비례 도쿄 블록으로 부활했던 하토야마 구니오 전 노동대신이 후쿠오카 6구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다. 이곳은 그의 외할아버지인 이시바시 쇼지로가 브리지스톤을 창업한 구루메시를 포함하고 있었다.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높은 인기에 힘입어 하토야마가 당선되었고, 고가 가즈나리는 지역구에서 다시 패배했으나 비례대표로 부활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민당에 대한 강한 역풍이 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우정 사장의 거취 문제로 총무대신 직을 사임한 직후였던 하토야마 구니오가 고가 가즈나리를 약 2만 표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고가 가즈나리는 또다시 비례대표로 부활했다. 선거 이후 하토야마는 자민당을 탈당했다.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하토야마 구니오는 자민당 복당을 결정했다. 자민당은 그가 탈당 후 다른 정당에 몸담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공식 후보 대신 '추천' 형태로 지원했고, 하토야마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반면 고가 가즈나리는 이번에는 비례대표 부활에도 실패하며 낙선했다. 선거 후 하토야마는 자민당 복당을 승인받았다. 이 선거에서 자민당과 공명당의 공천 후보가 동시에 출마하지 않은 선거구는 후쿠오카 6구와 구마모토현 제4구뿐이었다.
2014년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하토야마 구니오가 자민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며, 경쟁 후보가 공산당 후보 외에는 없어 압도적인 표 차이로 승리했다.
2016년 6월 21일 하토야마 구니오가 현직 의원 신분으로 사망하여, 이 선거구에서는 두 번째 보궐선거가 10월 23일에 실시되었다. 하토야마의 차남이자 전 오카와 시장이었던 하토야마 지로와 쿠라치 켄이 자민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두 사람 모두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자민당은 당선자를 추가 공인하기로 했다. 선거 결과 하토야마 지로가 당선되어 자민당의 추가 공인을 받았다.
이후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4년)에서 하토야마 지로는 모두 자민당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연이어 당선되었다.
'''선거 결과'''
선거 | 연도 | 당선자 | 소속 정당 | 비고 |
---|---|---|---|---|
제41회 총선 | 1996년 | 고가 마사히로 | 신진당 | 소선거구제 도입 |
제42회 총선 | 2000년 | 고가 마사히로 | 자민당 | 고가 가즈나리(민주당) 비례 부활 |
보궐선거 | 2002년 | 아라마키 류조 | 자민당 | 고가 마사히로 사망. 고가 가즈나리(민주당) 낙선 |
제43회 총선 | 2003년 | 고가 가즈나리 | 민주당 | 아라마키 류조(자민당) 낙선 |
제44회 총선 | 2005년 | 하토야마 구니오 | 자민당 | 고가 가즈나리(민주당) 비례 부활 |
제45회 총선 | 2009년 | 하토야마 구니오 | 자민당 | 고가 가즈나리(민주당) 비례 부활. 하토야마 선거 후 탈당 |
제46회 총선 | 2012년 | 하토야마 구니오 | 무소속 (자민당 추천) | 고가 가즈나리(민주당) 낙선. 하토야마 선거 후 복당 |
제47회 총선 | 2014년 | 하토야마 구니오 | 자민당 | |
보궐선거 | 2016년 | 하토야마 지로 | 무소속 (자민당 추가 공인) | 하토야마 구니오 사망 |
제48회 총선 | 2017년 | 하토야마 지로 | 자민당 | |
제49회 총선 | 2021년 | 하토야마 지로 | 자민당 | |
제50회 총선 | 2024년 | 하토야마 지로 | 자민당 |
4. 역대 중의원 의원
wikitext
선거명 | 년 | 당선자 | 정당 | 비고 |
---|---|---|---|---|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고가 마사히로 | 신진당 | |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자유민주당 | ||
제42회 중의원 의원 보궐 선거 | 2002년 | 아라마키 류조 | 고가 마사히로 사망에 따른 보궐선거. | |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고가 잇세이 | 민주당 | |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하토야마 구니오 | 자유민주당 | |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무소속 | ||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자유민주당 | ||
제47회 중의원 의원 보궐 선거 | 2016년 | 하토야마 지로 | 무소속 | 하토야마 구니오 사망에 따른 보궐선거. |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자유민주당 | ||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4년 |
5. 역대 선거 결과
(2007년 교토부 의원 선거 히가시야마구 선거구에서 당선)